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금리인하 가능성 분석

캐쉬스트림 2025. 5. 6. 22:55

목차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내용이 증시에 어느정도 반영되어 있는 지금, 증시는 최근처럼 급락과 급등을 반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나올 수 있는 이벤트가 대부분 나왔고, 이제 남은 건 벌어진 일들에 대한 세심한 합의 과정이기 때문이죠. 다만 이 과정이 길어짐에 따라 증시가 박스권내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것 같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모두가 기다리고 있는 이벤트는 지금의 상황을 종결지을 수 있는 재료들일텐데요.

     

     

    오늘은 그 중 가장 핵심인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기준 금리가 어떻게 변화할지, 그리고 이에 대한 근거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미리 분석한다면, 투자 방향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기준금리를 낮추게 되면, 시장에 유동성이 풀리게 되면서 은행에 묶여있던 현금들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됩니다(=주가가 상승합니다). 이러한 증시의 작용과는 별개로, 트럼프 행정부는 기준 금리 인하를 통해 국채를 추가로 발행할 때 발생하는 이자비용을 감소시키고 싶어 하는데요. 이러한 바램과는 달리, 기준 금리 조정은 연준의 고유 권한입니다. 연준은 물가와 경기 침체 여부에 대한 데이터 두가지를 모두 보고 기준금리를 결정해왔는데요. 다소 느리고 수동적이라고 느껴질 수 있지만, 선제적인 조치로 인한 리스크를 최소화 하기 위한 행위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물가와 경기 침체 여부가 지표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물가

    현재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관세와 유가입니다. 그리고 이를 인플레이션 기대 수치를 통해 판단합니다. 현재 연준은 인플레이션 수치가 2% 대로 안정화 되는것을 최대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과연 현재 인플레이션 수치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Inflation Rate [FRED 참조]
    Inflation Rate [FRED 참조]

    위의 그림을 보시면 2025년 이후 5년 기대 인플레이션 수치는 모두 2%대이고, 심지어 가장 최근은 2% 초반대로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현재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인위적인 물가상승이 예고되어있기 때문에 아직 물가상승에 대한 이슈가 끝났다고 판단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관세 정책은 결국 물가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인위적인 관세 정책은 수요를 먼저 감소시키고, 이로인해 공급 또한 감소하면서 경기침체 방향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수요와 공급이 줄어든다는 것은 악성 재고가 증가하여 공장을 더 이상 가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결국 근본적으로 물가를 떨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될 것 입니다.

     

    또한 물가는 유가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기업은 기름을 태워 공장을 가동하고, 배 또는 비행기를 이동시켜 물류를 발생시킵니다. 이 모든 것은 제품의 원가와 깊은 연관이 있고, 유가가 오르게되면 자연스럽게 물가 또한 오르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부분을 알고 있었는지, 'Drill, Baby, Drill'이라는 명언을 남기며 석유와 셰일가스 생산량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러한 기대에 호응한건지 현재 유가는 지속적으로 하락추세이고, 심지어 WTI 원유 가격은 4년만에 최저가를 갱신한 상태입니다.

     

    월별 원유 가격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참조]
    월별 원유 가격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참조]

     

    WTI유 가격 [인베스팅 닷컴 참조]
    WTI유 가격 [인베스팅 닷컴 참조]

     

    2. 경기 침체

    물가가 안정되었으니 이제 금리를 내리면 되는걸까요? 아닙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물가 안정만을 보고 금리를 내리는 것은 일종의 선제적 조치에 해당됩니다. 연준 입장에서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물가가 안정화된 지금 금리를 동결하고, 경기침체에 대한 확실한 데이터가 나왔을 때 비로소 행동을 하는 것 입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하려면 수요와 공급이 같이 줄어들면서 각 나라의 공장이 멈춰서야 합니다. 각 나라의 공장이 멈춰서면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일자리를 잃게되고, 이는 실업율에 반영되어 나타납니다. 연준이 실업율을 항상 중시하는 이유입니다.

     

    Unemploy Rate [FRED 참조]
    Unemploy Rate [FRED 참조]

    현재 실업율은 2024년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1948년부터 집계된 역사적 평균인 5.7%에 비하면 아직 낮은 수치로 본격적인 경기 침체에 들어갔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이게 앞으로의 경기지표를 유심히 관찰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우리는 이제 한 문장만 기억하면 됩니다.

     

    '인플레이션 수치가 2%인데, 실업율이 5.7% 수준에 근접하면 기준금리를 인하하겠구나'

     

    연준은 리스크를 0에 수렴되게끔 행동하는 집단이기 때문에 물가와 경기침체 두가지 모두가 만족되었을 때 비로소 금리에 대한 행위를 취할 것 입니다.

    결론

    현재 관세 정책으로 인한 수요와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안좋은 경기지표가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위의 기준을 토대로 기준 금리에 대한 방향을 확인하고 추가 투자를 고려하는 것 이 바람직 할 수 있습니다. 오늘 내용의 요약을 다시한번 한문장으로 표현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인플레이션 수치가 2%인데, 실업율이 5.7% 수준에 근접하면 기준금리를 인하하겠구나'

     

    물론 이 예측이 틀릴 순 있으나, 투자에 100%는 없기 때문에 높은 확률을 바라보고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금리 인하기에 포트폴리오에 편입하기 좋은 종목 또는 산업군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이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담긴 글 입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