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더 빠르게 은퇴하는법, 레버리지(리스크 관리방법)

by 캐쉬스트림 2025. 4. 2.

 

시간이라는 마법은 레버리지의 리스크를 높은 수익률로 변화시킨다

2025.03.30 - [분류 전체보기] - 은퇴자금 7억 시뮬레이션, QQQM vs VOO

 

앞선 포스팅에서 월 세후 350만원에 연 배당 성장률 5.6%의 은퇴 소득을 벌기 위해서 7억원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QQQ 또는 S&P500로 7억을 모을 수 있는 기간별 월 적립금액을 말씀드렸는데요. 포스팅을 보신분들은 기분이 어떠셨나요? 너무 긴 시간이 필요하다, 또는 월 적립금이 너무 과하다 라는 생각을 하신분들이 계실겁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나스닥 100 기초 지수를 2배 또는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종목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거나 이를 2배, 3배로 추종하는 ETF인 QQQ, QLD, TQQQ는 장기투자 관점에서 어떤 성과를 보일까요? 이 글에서는 각각의 ETF가 지난 10년, 20년, 30년간 보여준 연평균 수익률, 최대 낙폭(MDD), 그리고 7억 원을 목표로 했을 때 필요한 월 적립금 등을 수치 기반으로 자세히 분석합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최대로 경험할 수 있는 원금 손실 영역을 같이 제시하며 리스크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QQQ : 나스닥 100 1배

QQQ는 나스닥 100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대표적인 인덱스 ETF입니다. 1999년 출시된 이후로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상승세를 고스란히 반영합니다. QQQ의 평균 수익률은 약 13%수준입니다. MDD(최대 낙폭)는 금융위기와 팬데믹 때 각각 -50% 가까이 기록되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회복력이 뛰어난 ETF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0년을 기준으로 7억 원을 만들기 위한 월 적립금은 약 16만 원 선으로 계산되며, 이는 복리의 힘이 극대화되는 장기 투자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QQQ는 장기 보유 시 리스크 대비 수익률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자에게도 적합합니다. 이러한 종목을 30년간 투자하는 경우, 항상 우상향할수만은 없겠죠? 이러한 고민을 하는 분들을 위해 MDD 기준 최대로 손실볼 수 있는 원금을 계산해보았습니다. MDD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MDD = PMT*12*n*MDDr

 

MDD는 최대 원금 낙폭을 의미하고, PMT는 월 적립금, n은 투자 연수, MDDr은 최대 낙폭율입니다.이 외에도 오늘은 각 레버리지 비율별 투자 가치를 판단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한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FER = FE/MDD

 

FER은 최대 원금 손실액 대비 예상되는 복리수익의 비율로 표현한 투자가치, FE는 미래 예상 복리 수익, MDD는 최대 원금 손실 비용입니다. 이 숫자가 클수록 리스크대비 예상 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투자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QQQ는 7억원 투자를 위해 월 16만원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는데요. 이를 계산해보면 MDD는 약 2800만원 수준이 됩니다. 예상 복리수익은 6억 4천만원으로 FE(투자가치)는 22.3이 됩니다. 이를 통해 기간별, 레버리지 비율별 비교분석을 통해 가장 가치있는 투자 방법을 제안드려 보겠습니다.

QLD : 나스닥 100 2배

QLD는 나스닥 100지수를 2배 추종하는 ETF로, 단기 변동성은 높지만 장기적으로는 QQQ보다 높은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다만, 상승장에서는 폭발적인 수익을 주지만 하락장에서는 손실도 두 배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최근 10년 수익률을 보면 QLD는 연평균 25~27%에 달하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20년 기준 평균은 약 18%, 30년 시뮬레이션 결과는 약 15% 정도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MDD는 -70% 이상으로, 변동성은 매우 큽니다. QLD로 30년 후 7억 원을 만들기 위한 월 적립금은 약 10만원 수준으로 월 적립금이 대폭 줄어들며, 이는 레버리지의 힘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QLD는 하락장에서 자산이 급격히 줄어들 수 있으므로 보수적인 투자자보다는 적극적이거나 장기적인 시각을 가진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QLD 또한 30년 장기투자시 투자 가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MDD는 2500만원, 예상 복리 수익은 6억 6천만원 수준으로 FER은 무려 26입니다. QQQ보다 무려 3.7 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그도 그럴것이 높은 수익률로 인해 총 투자 원금은 낮으면서 예상되는 복리수익은 6억 6천만원 수준이기 때문에 가능한 수치입니다. 바로 3배 레버리지로 넘어가겠습니다.

TQQQ : 나스닥 100 3배

TQQQ는 나스닥 100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ETF입니다. 극단적인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만큼, 초고위험·초고수익 투자 상품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하락장에서의 손실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TQQQ의 10년 수익률은 연평균 약 35%에 달하며, 폭발적인 성과를 기록한 시기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팬데믹이나 2022년 기술주 조정장에서는 MDD가 -90%에 육박하는 등 위험성도 큽니다. 20년 시뮬레이션 수익률은 약 20~22%, 30년 장기 추정 수익률은 약 17%입니다. TQQQ로 30년간 7억 원을 만들기 위한 월 적립금은 약 6만 원 수준까지 줄어들며, 적립금 측면에서는 가장 유리합니다. TQQQ의 투자 가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총 투자 원금은 2270만원, 예상 복리 수익은 6억 7700만원으로 투자가치는 무려 33.1입니다. 이는 QQQ보다 10.8 포인트, QLD보다 7 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계산상 가장 투자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투자가치가 높은 TQQQ이지만, MDD가 -90%를 기록한 만큼 레버리지 상품을 투자하는 경우에는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레버리지 비율별 요약

지금까지 30년이라는 장기 투자의 경우를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각 비율별 10년, 20년, 30년 투자시 FER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투자기간 투자원금 총액 예상 연복리 수익률(CAGR) 최대 낙폭(MDD) FER
QQQ 10년 3억 4천만 원 약 13% -50% 2.06
20년 3억 5천만 원 약 13% -50% 7.44
30년 5700만 원 약 13% -50% 22.3
QLD 10년 1억5천만 원 약 26% -70% 5.22
20년 7200만 원 약 18% -70% 12.31
30년 3600만 원 약 15% -70% 26
TQQQ 10년 6000만 원 약 39% -90% 11.83
20년 4600만 원 약 21% -90% 15.63
30년 2200만 원 약 18% -90% 33.15

 

모두 레버리지 비율이 크거나, 투자 기간이 길 수록 투자가치인 FER이 높아지는 경향을 가집니다. 특히, TQQQ는 MDD가 원금의 전체에 가까운 90% 손실을 보고 있음에도 FER이 셋중 가장 높은 편 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특이한 점은, QQQ는 투자 기간에 따른 연 평균 수익률이 13%로 일정하지만, QLD와 TQQQ는 투자 기간이 늘어날 수록 평균 수익률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결국 레버리지로 인한 높은 MDD로 전고점을 회복하는데에 QQQ 대비 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횡보장에서 레버리지가 1배 대비 더 큰 손실이 날 확률이 있습니다. 이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버리지 투자시 리스크 관리

지금까지 나스닥 100 기초지수의 1배,2배,3배 종목으로 7억을 모으기 위한 투자 기간별 월 적립금 및 투자가치 FER을 계산해보았습니다. 단순한 숫자의 나열로 보이지만, 이 안에는 깊은 뜻이 숨어 있습니다. 3배 레버리지를 투자해야 한다? 아닙니다. 저 숫자들 사이에서 우리가 가져가야만 하는 교훈은 '투자의 모든 리스크는 시간으로 중화시킬 수 있다' 입니다. 레버리지 비율에 상관없이 MDD를 견뎌내고 꾸준히 시간을 투자하면, 아무리 높아보이는 리스크의 벽도 높은 투자가치라는 선물로 변신합니다. 꼭 레버리지 투자를 하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주식투자에 있어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리스크의 함정을 시간이라는 재료로 확실하게 중화해보세요. 경제적 자유 또는 은퇴생활이 먼 미래의 이야기는 아닐 것 입니다.

 

※ 이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포함된 글 입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