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5. 4. 23. 22:49

미국 자본 시장은 신뢰를 잃었을까?

반응형

미국 자본 시장은 신뢰를 잃었을까?
미국 자본 시장은 신뢰를 잃었을까?

2025년 4월 23일 증시 현황을 브리핑 해보겠습니다. 매번 말씀드리는 것 처럼, 항상 냉철하게 시장의 역사와 현재를 분석하다보면 지금과 같은 하락장에서도 기회가 찾아오는 법입니다. 오늘 다뤄볼 가장 큰 이슈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인한 미국 증시 상승과 금과 비트코인 사이의 순환매 그리고 미국 국채금리의 안정화 정도로 요약될 수 있겠습니다.

미국 증시 상승

현재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하나로 변동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1일 본인의 트루스 소셜을 통해 파월 의장이 지금 미국 금리를 인하하지 않으면 경기가 둔화될거라는 말을 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제롬 파월 의장 해임을 시사하며 시장에 극도의 불안감을 형성했는데요. 해당 발언 이후 미국 증시는 물론 채권과 달러까지 동시에 무너지는 현상이 보였습니다. 하지만, 4월 23일 오늘 이내 다시 방향을 전환하며 파월 의장을 해임할 생각이 없다고 발언을 정정하였습니다. 또한 월마트 및 홈디포와 회동하며 관세 영향에 대한 논의를 하며 안으로는 관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행보에 힘입어 다시 오늘 미국 증시는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저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쌍바닥을 결국 형성하며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나스닥 차트 [알파스퀘어 참조]
나스닥 차트 [알파스퀘어 참조]

 

현재 가격은 총 14.7%의 매물대에 걸려있으며, 이 부분을 돌파하냐 마냐가 기술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또한 미국 재무부 베센트 장관은 "아주 가까운 미래에 긴장이 완화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발언을 했는데요. 이런 긍정적인 발언들이 시장의 긴장감을 잠시 완화시켰던 것 같습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2427

 

"美 재무, 중국과 관세갈등 상황 완화 예상"(종합) - 연합인포맥스

합의 가능성 언급하면서도 협상을 "힘든 일"이라 표현하기도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중국과 관세 갈등 관련 현 상황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상황이 완화할 것으로 예상

news.einfomax.co.kr

 

2018년 vs 2025년

이는 2018년과 매우 흡사한 흐름을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도에도 관세 카드를 계속 보여주며 시장의 등락폭을 키워왔는데요, 이력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2018년 1월 세이프 가드 발동 > 증시 하락

2. 2018년 3월 철강 25%, 알루미늄 10% 관세 발표 > 증시 하락

3. 2018년 3월 관세 예외 실행, 2018년 4월 중국 보복관세 시행 (2025년과 매우 흡사합니다) > 증시 상승

4. 2018년 9월 보복관세 격화 > 증시 하락

5. 2019년 5월 대중관세 25% 격상 > 증시 하락

6. 2019년 9월 관세 인상 연기 > 증시 소폭 하락

7. 2019년 12월 관세 무기한 연장 [1차 무역 합의] > 증시 상승

 

사실상 2년에 가까운 기간동안 관세 카드를 놓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그 결과, 1차 무역합의 전까지는 미국 증시는 박스권에 갇혀 횡보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아마 지금의 상황은 3번과 4번 사이 어딘가에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오늘의 상승은 매우 일시적인 현상일수도 있다고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

금과 비트코인 순환매 현상

$3400을 최초로 돌파하며 무섭게 상승하던 금이 오늘 상승세가 꺽이며 하락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동시에 비트코인이 하락추세를 완벽하게 돌파해주며 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자산이 금에서 비트코인으로 옮겨가는 순환매현상을 보였는데요. 비트코인의 RSI는 70위를 돌파하며 금에서 보였던 과매수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추세 돌파 [알파스퀘어 참조]
비트코인 추세 돌파 [알파스퀘어 참조]

 

반대로 금은 상승추세가 종료되고 2.42%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RSI 또한 비트코인과는 반대로 과매수 구간을 벗어나 하락하였습니다.

금 하락 [알파스퀘어 참조]
금 하락 [알파스퀘어 참조]

이러한 순환매 현상이 지속되다보면, 다시 미국 증시로 자금이 유입되는 순간이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주기는 2018년도 관세 경쟁 상황과 비슷한 최대 2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고 봅니다.

미국 국채 금리 하락

미국 국채 금리 하락 [네이버 금융 참조]
미국 국채 금리 하락 [네이버 금융 참조]

트럼프 대통령과 재무부 베센트 장관의 발언 덕분인지 미국 관세에 대한 불안감이 단기적으로 해소된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애초 목표했던 장기 국채 금리 3%대 진입까지는 시간이 더욱 필요해 보입니다.

신뢰 잃은 미국은 이제 끝인가?

2018년도에도 동일하게 증시와 달러가 하락하고 장기 국채 금리가 상승했습니다. 마찬가지로 미국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떨어졌다는 것이 원인이었죠. 하지만 지금 미국은 어떤가요? 2018년 이후로 쭉 하락세를 보였나요? 물론 2년동안의 관세 정책과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안정적인 날이 없었지만, 결국 우상향하여 지금까지 왔습니다. 우려하는 상황이 쉽게 일어나진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결론

오늘은 비트코인과 금, 미국 증시 그리고 미국 정치인들의 행보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 포스팅 요약해드리겠습니다.

 

1.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뒤집기와 재무부 베센트 장관의 관세 관련 언급으로 시장은 단기적인 상승세를 보임

2. 나스닥 증시는 쌍바닥을 보이며 14%의 매물대 뚫기를 시도 중

3. 금에 몰려있던 자금이 풀리며 비트코인으로 들어가는 순환매 현상 발생

4. 금 > 비트코인 >>> 이후엔 미국 증시로 자금이 다시 흘러들어올 수 있음

5. 2018년도를 회귀해보면 증시 박스권은 2년정도 지속되었고, 코로나 이후 빠르게 우상향 한 것을 알 수 있음

6.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2% 하락하며 안정세를 보임

7. 최초 목표였던 3% 진입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임

8. 증시와 달러가 하락하며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모습은 미국 시장이 신뢰를 잃은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발생시킴

9. 이는 2018년과 놀라울정도로 동일한 상황으로 2023년 2024년을 보면 결국 미국시장은 우상향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이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포함된 글입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