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5. 4. 13. 20:14

트럼프 관세면제, 아직 남은 리스크

반응형

트럼프 관세면제, 아직 남은 리스크
트럼프 관세면제, 아직 남은 리스크

4월 12일 트럼프 대통령은 컴퓨터, 스마트폰, 반도체에 대해서 상호 관세를 제외한다는 발표를 하였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생산되는 물품까지 포함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는데, 증시 관점에서 엄청난 호재가 되었습니다. 이 소식 이후 위캔드 나스닥은 4% 급상승을 보여주었고, 월요일 정규장에서도 급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 생각됩니다.

Weekend US Tech 100 Chart, 관세 제외 발표 후 4% 급반등
Weekend US Tech 100 Chart, 관세 제외 발표 후 4% 급반등

현재 선물 시장에서도 증시의 Long 포지션을 취하는 비율이 Short 대비 12%나 많은 상황으로, 12일 발표에 반하지 않는 정책이 갑자기 나오지 않는 이상 월요일은 상승장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Long 포지션이 Short 포지션보다 12% 많음
Long 포지션이 Short 포지션보다 12% 많음

현재 표면적인 상황만 보았을 때, 이제 관세전쟁은 끝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조금 더 이면을 바라보면 아직 남아 있는 리스크들이 분명 존재하고 지금의 시황이 조금은 장기적으로 흘러갈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제외 발표 이후 시장에 남아있는 리스크들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증시의 방향을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글 끝까지 읽어주세요.

관세 면제 대상

관세 면제 기사 Link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12/trump-exempts-phones-computers-chips-from-reciprocal-tariffs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면제 대상은 컴퓨터, 스마트폰, 반도체 항목입니다. 4월 2일에 이미 반도체에 대한 관세 면제는 발표한 바 있으나, 당시 대비 훨씬 더 많은 종목이 포함되어 있어 기존과 동일한 상황으로 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확실히 고무적인 부분은, 중국에서 생산하는 제품도 동일하게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대부분의 전자기기를 중국에서 수입해 옵니다. 이 제품은 중국 회사가 만든 제품을 수입해 오는 것이 아닌, 미국 내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다국적 빅테크들이 인건비 절감을 위해 지은 중국 내 공장에서 만든 제품을 의미합니다. 이는 역으로 중국의 주요 대미 수출 항목이 상호 관세에서 면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사실상 중국을 향한 미국의 관세 압박은 끝났다고 봐도 되는 걸까요? 사실 이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습니다.

 

리스크 1 : 무역확장법 232조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of 1962)는 특정 수입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대통령이 수입 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법률 조항입니다. 이 조항은 1962년에 제정되었으며, 트럼프 행정부 시절부터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갑자기 법조항이 왜 나오냐? 말 그대로 상호 관세는 면제되었지만, 아직 무역확장법 232조에 의한 개별 품목 관세가 구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실제 2018년 3월 1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일률적으로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하도록 지시하여 무역 갈등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실제로 이 갈등은 2022년 2월에 가서야 공식적인 무역 협약으로 종료가 되었고, 그 기간 동안 시장의 불확실성은 지속되었습니다.

무역확장법 절차

무역확장법 절차 (참조 : KIEP 기초자료 18-18,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현황')
무역확장법 절차 (참조 : KIEP 기초자료 18-18,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현황')

이런 무시무시한 무역 확장법의 실행 절차는 어떻게 될까요? 무역 확장법 절차는 위의 그림과 같습니다. 상무부가 조사개시를 한 이후 270일 내에 분석 결과가 발표되고, 대통령은 이에 대해 90일 이내에 실행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4월 14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하기로 한 개별 품목 관세는, 조사 개시 후 대통령 보고가 끝난 상태이고 이제 어떤 항목에 대해 수입제한조치를 실행할지 여부를 발표하는 단계입니다. 2018년 철강항목에 25%가 부과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상호 관세 면제는 모든 리스크를 해소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리스크 2 : 인플레이션

사실 미국은 내수시장이 활발하여 전 세계에서 자급자족을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입니다. 생필품 관련해서 중국에서 수입하는 비중은 5% 수준이죠. 그런데 시장은 계속해서 인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위에서 말씀드린 무역 확장법을 제외하고 생각해 보면, 컴퓨터, 스마트폰, 반도체라는 완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는 면제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완제품들을 만드는 원자재들에 대한 관세는 언급이 없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상호 관세는 진정한 물가 상승이 아닌, 정책에 의한 고의적인 물가 상승을 불러올 수 있다고 했었죠? 컴퓨터를 만드는데 필요한 원자재에 대한 무역이 마르고, 공급이 줄어들면 가격이 자연스럽게 높아지고, 이는 컴퓨터의 원가 자체를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짧은 시간 동안 관세에 대한 많은 히스토리가 있었지만, 사실 이 관세가 적용된 경제 지표를 시장은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관세 적용 달인 4월의 경제지표는 5월에 발표됩니다. 그리고 이 관세가 사실 얼마나 지속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2018년에는 2022년 2월에 가서야 종료) 당겨진 수요로 인한 수요공급 불균형과 이로 인한 생산율 하락, 그 시기동안 이익을 보전하기 위한 회사의 제품 가격 상승 등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앞으로 긴 시간 동안 무너지는 경제지표 또는 경기 침체를 마주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리스크 해소는 언제?

그럼 대체 이 리스크는 언제 해소되는 걸까요? 관세 갈등이 종료되면 끝나는 걸까요? 실제로 관세 갈등이 종료되어도, 관세 적용 기간 동안 시장에 뿌려진 불확실성은 한동안 후폭풍으로 다가옵니다. 실제 리스크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판단되는 시기는, 관세로 인한 수요공급 불균형이 해소되고 이후 산업시장이 정상화된 부분들이 실제 소비자들의 생활에 적용되어 경제지표로 보이는 순간이 되겠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아직 갈길이 멀다고 느껴집니다.

 

매수 시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4월 12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면제 발표는 명확하게 시장에 호재가 맞습니다. 중장기적으론 리스크가 분명 존재하나, 단기적으론 반등이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입니다. 그렇다면, 다음 주 월요일에는 어떤 종목들이 매수하기 좋을까요? 종목들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이고 추천이 아니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면 됩니다.

0. 애플

애플은 폭스콘이라는 대만/중국에 생산거점을 가진 위탁회사에서 아이폰을 대부분 생산합니다. 스마트폰에 대한 상호관세가 면제되지 않았다면, 애플은 폭스콘에서 생산된 아이폰을 기존 정가의 245% 이상을 주고 팔아야 하는 상황이었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세기를 통해 인도에서 아이폰을 옮기기도 하는 해프닝이 있었습니다. 관세 관련해서 가장 많은 눌림이 있었던 종목인 만큼, 월요일 상승을 기대해 봐도 좋다는 생각입니다.

1. 엔비디아

엔비디아의 레거시 GPU인 H20에 대한 수출 제한이 풀리기도 했고, 반도체에 대한 상호 관세도 면제되었으니 엔비디아 입장에선 기존에 중국향으로 발생하던 매출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직 관세 여파가 퍼지지 않아 생산단가에 대한 부분이 정해지진 않았지만, 말 그대로 단기적인 시각으로 바라봤을 때 상승여력이 충분히 보입니다.

2. TSMC

대만에 생산거점을 두고 있는 TSMC 또한 상호 관세에서 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 전 세계 시스템 반도체의 6할을 책임지는 거대 기업이라, 이 정도 수준의 보호막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렇게 빠르게 발표가 될 줄은 몰랐네요. 어찌 되었든 TSMC에게도 확실한 호재거리가 되었습니다.

3. SOXL

캐쉬 스트림이 지속적으로 매집하고 있는 종목이기도 한데요. 이번 관세 면제로 인해 반도체 전반적인 수요가 회복될 것이란 시장의 기대가 생겼고, 반도체 제품 수요 회복은 이를 만들기 위한 반도체 장비 투자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련된 모든 회사를 포함하고 있는 SOXX 또는 SOXL에 대한 명확한 호재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

4월 12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면제 발표는 높아진 국채 금리와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나쁜 열기를 잠시나마 식혀줄 수 있는 소방역할을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를 바닥으로 보고 모든 역량을 투자에 쏟지 마시길 바랍니다. 냉정하게 현실을 바라보았을 때 관세 발표는 이제 막 시작하였고, 이 여파가 소비자에게 까지 흘러가는 지표가 시장에 반영되기엔 한 달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심지어 이 관세 갈등이 언제 해소될지도 의문이기 때문이죠. 캐쉬 스트림은 계속 말씀드려 오는 것처럼 일정한 현금 비중을 가지고, 조금씩 분할매수하며 이번 하락장을 좋은 기회로 삼을 생각입니다.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도 이 글을 통해 좋은 인사이트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 반영된 글입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