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포스팅에서 1배 지수 ETF와 2배,3배 레버리지 종목에 대한 복리 예상 수익과 MDD 그리고 이를 통한 투자 가치를 계산해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레버리지 종목을 오랜시간 투자할 수록 투자가치가 상승한다는 내용을 얻을 수 있었는데요. 여기서 한가지 특이한점은 레버리지 주식에 대한 투자기간이 길어질 수록 평균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점 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변동성이 큰 레버리지 주식의 특성으로 인해, 전고점을 회복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장기 적립식 투자에 있어서 변동성은 투자가치를 떨어트리는 원인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장기 적립식 투자에 있어서 변동성은 평단가를 낮추고, 주식 보유 수량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레버리지중에 가장 배수가 높은 TQQQ 종목을 예시로 들어 변동성이 존재하는 실제 주가 흐름과, 연 평균 수익률에 기반한 선형으로 상승하는 두 가지 케이스의 수익률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변동성이 적립식 투자에 주는 이점에 대해 설명하며 레버리지의 가장 큰 리스크인 변동성이 시간과 적립식이라는 두가지 재료에 의해 어떻게 기회로 재탄생하게 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주가 변동성에 의한 수익률 시뮬레이션
주가 변동성은 단순히 가격이 출렁이는 현상이 아니라, 투자 전략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크면 클수록 분할매수를 통해 평균 매입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반등 시 수익률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TQQQ는 나스닥10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ETF로, 초고변동성과 고수익률 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실제 TQQQ 가격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변동성이 있는 조건에서는 분할매수 전략이 직선형 상승 시나리오보다 약 22%포인트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문단에서는 TQQQ의 실제 주가 흐름과, 연 평균 수익률에 기반한 직선형 주가 흐름, 두 가지 경우에서 5년동안 적립식 투자를 진행한 경우 5개월 단위의 수익률이 어떻게 차이가 나게 되는지 시뮬레이션 해보겠습니다. 시뮬레이션 조건으로는 TQQQ를 2020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총 60개월 대상이고, 매월 100만원씩 투자하여 총 6000만원을 투자한다고 했을 때의 가정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실제 TQQQ와 직선 상승 가정 케이스 모두 원금은 6000만원으로 동일하나, 최종 평가금은 TQQQ가 1억 1700만원, 직선 상승이 1억 400만원으로 수익률은 약 22% 차이나게 됩니다. 이를 5개월동안 원금, 평가액, 수익률 순으로 정리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기간 | 누적 투자금 | 실제 평가액 | 실제 수익률 | 직선 평가액 | 직선 수익률 |
---|---|---|---|---|---|
5개월 | 5,000,000 | 4,800,000 | -4% | 5,340,000 | +6.8% |
10개월 | 10,000,000 | 9,200,000 | -8% | 10,980,000 | +9.8% |
15개월 | 15,000,000 | 16,700,000 | +11.3% | 17,300,000 | +15.3% |
20개월 | 20,000,000 | 25,400,000 | +27% | 24,870,000 | +24.3% |
25개월 | 25,000,000 | 31,800,000 | +27.2% | 32,470,000 | +29.8% |
30개월 | 30,000,000 | 42,700,000 | +42.3% | 40,900,000 | +36.3% |
35개월 | 35,000,000 | 51,200,000 | +46.2% | 49,950,000 | +42.7% |
40개월 | 40,000,000 | 62,900,000 | +57.2% | 60,100,000 | +50.2% |
45개월 | 45,000,000 | 81,300,000 | +80.6% | 72,400,000 | +60.9% |
50개월 | 50,000,000 | 94,000,000 | +88% | 84,200,000 | +68.4% |
55개월 | 55,000,000 | 106,000,000 | +92.7% | 95,800,000 | +74.2% |
60개월 | 60,000,000 | 117,000,000 | +95% | 104,000,000 | +73% |
첫 10개월동안은 TQQQ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여 QQQ와 최대 17.8% 정도 수익률 차이가 나지만, 약 20개월부터 조금씩 앞서기 시작하다가 결국 60개월 차에서는 수익률이 22%를 앞서며 마무리됩니다. 당연한 결과이지만, 주가가 하락방향의 변동성을 겪었을 때, 동일한 가격으로 더 많은 주식을 보유할 수 있게되었고, 고점으로 상승하면서 직선형 상승 대비 많은 주식 수로 인해 수익금 상승 비율이 더 높게 형성되었습니다. 이처럼 변동성은 장기 적립식 투자에 있어서 평단가를 낮추고, 주식 수를 늘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종목별 베타 지수 비교
변동성이 장기 적립식 투자에 있어 도움이 되는 요소라면,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투자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어떤 종목을 투자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이러한 변동성을 표현할 수 있는 지수는 무엇이 있을까요? 베타 지수는 시장대비 변동성이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클 수록 종목의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1배, 2배, 3배별 변동성에 대한 지수로 연 변동성(%), 베타 지수 그리고 이를 통한 분할매수 적합도를 판단한 내용입니다.
ETF | 추종 지수 | 레버리지 | 연 변동성 | 베타 지수 | 분할매수 적합도 |
---|---|---|---|---|---|
QQQ | 나스닥100 | 없음 | 약 25% | 1.10 | ⭐️⭐️ 중간 |
QLD | 나스닥100 (2배) | 2배 | 약 45~50% | 2.10 | ⭐️⭐️⭐️ 높음 |
TQQQ | 나스닥100 (3배) | 3배 | 약 70~90% | 3.30 | ⭐️⭐️⭐️⭐️ 매우 높음 |
위의 표를 보면 장기 적립식 투자 관점에서 1배인 QQQ보다 3배인 TQQQ를 진행하는 것이 수익률이 더 좋을것으로 판단됩니다.
결론
변동성을 높게 반영한 3배 레버리지 TQQQ와 안정성을 강조한 QQQ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시간과 적립이라는 두가지 재료가 레버리지의 높은 변동성이라는 리스크를 어떻게 기회로 산출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 결과적으로도, 주가 변동성이 존재하는 실제 조건에서는 분할매수 전략이 직선형 상승 조건보다 22%포인트 이상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TQQQ처럼 고변동성을 지닌 자산에서는 하락장에서 더 많은 수량을 확보할 수 있어 분할매수의 효과가 가장 극대화됩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자산이 어떤 성격의 변동성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고, 변동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분할매수 방식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당신의 투자 전략을 점검해보세요.
※ 이 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주관이 담긴 글 입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