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주식투자 / / 2025. 4. 6. 23:51

PDI 저점 매수 기회?

반응형

PDI 저점 매수 기회?

앞선 포스팅에서 4월 4일 4500조 가량의 증시 폭락사태에 대해 다뤄봤는데요. 경기 체질 자체가 안 좋은 것이 아닌, 정치적 불확실성에 의한 주가 하락일 수 있다는 추측을 해보았습니다.

2025.04.05 - [분류 전체보기] - 미국의 상호 관세와 증시 4500조 증발, 경기 침체 시작?

 

미국의 상호 관세와 증시 4500조 증발, 경기 침체 시작?

4월 4일 하루 만에 미국 증시가 약 4500조 원 증발하며 폭락되었습니다. 최근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던 레버리지 종목들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방어주로 선호되었던 SCHD마저 폭락을 피하지 못했는

hyode.com

해당 날짜에 QQQ, S&P500 뿐만 아니라 다우존스도 폭락을 피할 순 없었고, 방어주 성향이 강한 SCHD 또한 이틀 동안 총 10%의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대표적인 CEF 종목인 PDI도 하락을 피할 순 없었는데요. 4월 4일 종가 기준으로 현재 PDI 가격은 $17.75입니다. 2022년 하이퍼 금리 상승기 이후 채권 종목인 PDI는 최고 $33에서 $10 후반 ~ $20 초반 가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체적인 하락장에서 PDI 종목을 저점매수의 기회로 봐도 되는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PDI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은 글 끝까지 읽어주세요.

PDI 자산 현황

앞선 포스팅에서 이미 PDI를 소개한 이력이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2025년 4월 4일 기준 PDI의 기준 수치가 어떻게 변경되었는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아래 표는 CEF Connect에서 PDI 종목으로 조회한 결과입니다.

기간 주가 NAV 프리미엄/할인율
현재 17.75달러 16.92달러 16.49%
52주 평균 19.29달러 17.09달러 12.88%
52주 높이 20.90달러 17.44달러 19.76%
52주 낮음 17.43달러 16.75달러 7.01%

 

현재 PDI의 주가는 52주 저점에 근접한 수치로 매우 낮아진 상태인데요. 주가만 보았을 땐 저점 매수의 기회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NAV를 보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NAV 역시 52주 저점에 근점 해있는 상황으로 NAV 대비 주가의 프리미엄 또는 할인율을 보았을 때, 52주 평균보다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을 하락하였지만 총 자산 대비 주가로 보자면 오히려 조금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DI NAV 하락 원인

NAV가 52주 기준 소폭 하락하는 경향으로 보입니다. 보통 CEF나 BDC 종목에서 NAV의 하락 중 가장 위험한 원인은 ROC가 있는데요. PDI 배당 이력을 통해 그동안 ROC가 존재했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Declared Date Payable Date Ex Date Distrib Amount Income Long Gain Short Gain ROC
3/3/2025 4/1/2025 3/13/2025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2/3/2025 3/3/2025 2/13/2025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1/2/2025 2/3/2025 1/13/2025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12/2/2024 1/2/2025 12/12/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11/1/2024 12/2/2024 11/12/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10/1/2024 11/1/2024 10/11/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9/3/2024 10/1/2024 9/13/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8/1/2024 9/3/2024 8/12/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7/1/2024 8/1/2024 7/11/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6/3/2024 7/1/2024 6/13/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5/1/2024 6/3/2024 5/10/2024 $0.2205 $0.2205 $0.0000 $0.0000 $0.0000

 

다행히 52주간 ROC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주당 $0.2205라는 배당금을 지급하기에 충분한 재정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겠는데요. 그렇다면 NAV의 하락과 이로 인한 프리미엄 상승에는 어떤 원인들이 있을까요?

1. 채권 가격 하락

PDI는 주로 고수익 채권에 투자하는 폐쇄형 펀드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의 금리와 채권의 가격은 반비례합니다. 예를 들어 7%의 금리로 채권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후에 발행된 채권 금리가 9%인 경우, 본인이 가지고 있는 7%의 채권이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후에 발행된 채권의 금리가 5%인 경우, 지금 가지고 있는 7%의 채권이 비교적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준은 지속적으로 금리를 상승시켜 왔고 2025년에 본격적으로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과는 달리,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잡히지 않으면서 금리 인하 계획을 일부 조정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금리 상승에 의한 채권 가격 영향성은 코로나 이후부터 지속되어 왔기 때문에, 이번에 발생한 가격 하락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기엔 어렵습니다.

2. 시장 변동

PDI는 높은 배당금을 주는 고배당 채권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보통 고배당을 보증하는 CEF의 경우 채권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DI도 역시 레버리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편입니다. CEF Connect에 따르면, 현재 PDI의 레버리지 사용 비중은 약 31.31%입니다. PDI의 전체 포트폴리오에 1/3을 레버리지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당연히 취약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다뤘던 것처럼, 현재 상호 관세 정책으로 인한 주가에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대표적인 레버리지 종목인 SOXL의 경우, 1주일 사이 약 46%의 하락을 경험했는데요. PDI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3. 경비율

PDI는 고수익 채권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채권을 다룰 수 있는 전문 펀드 매니저들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CEF 종목은 대부분 경비율이 다른 Passive ETF 대비 매우 높은 편인데요. PDI의 평균 경비율은 약 6%대로 매우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일정한 배당금을 안정적으로 지급해 왔던 PDI의 이력을 감안했을 때, 지금까지 잘 대응해 왔던 경비율이 갑자기 문제가 되었다고 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PDI 저점매수 구간일까? - 트럼프 정부 1기 비교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 PDI의 가격하락은 채권 자체의 가치 하락이 아닌 정치적 불확실성에 의한 표면적인 가격하락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를 저점매수의 기회라고 생각하기엔 아직 고민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말 그대로 상호 관세라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강한 시기이기 때문에, 다음 한 주 동안 관세와 관련된 새로운 타협점이 나올 수 있는지 유심히 지켜보고 매수를 결정하는 것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정부는 1기 때부터 높은 관세율을 먼저 선언한 뒤 협상 과정에서 유리한 입지를 점유하는 전략을 채택해 왔었는데요. 현재도 동일하게 높은 관세율을 여러 나라에 선언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트럼프 1기 당시 PDI의 가격추이는 어땠을까요?

트럼프 1기 기간동안 PDI 가격 추이

트럼프 1기 정부 임기말을 제외하면, 임기 기간 동안 전체적으로 가격이 상승했던 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기간 중 구체적으로 관세 정책이 발효된 시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18년 1월 : 태양광 패널 및 세탁기 관세 부과

- 2018년 3월 :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부과

- 2018년 7월 :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대부분 2018년에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2018년 기간 동안 PDI의 가격은 상승추이였다는 것을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PDI의 가격 추이를 정치적 불확실성에 의한 PDI의 가격 및 NAV 하락 (프리미엄은 소폭 상승), 그 외 하락 요인 (ROC, 금리 상승, 경비율) 관점 변화된 점은 없다는 것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번 단원에서 트럼프 1기 정부의 관세 정책시절 가격 추이를 참고하였을 때, 채권으로 이루어진 PDI 종목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오히려 가격이 상승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PDI를 저점매수할 수 있다는 의견에 부합되는 긍정적인 내용이지만, 트럼프 1기와 2기가 동일하게 흘러간다고 장담할 순 없기 때문에 4월 한 달 동안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떻게 해소되는지 유심히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0. 2025년 4월 4일 미국 증시가 전체적으로 하락하며 PDI도 하락 (주가 $17.75, NAV 16.92로 현재 프리미엄은 16.49%)

1. NAV 하락 원인으로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레버리지 비중으로 인한 가격 변동성

2. 현재 마주하고 있는 정치적 불확실성은 2018년 관세 정책과 유사함. 당시 PDI 가격은 상승하였음

3. 다만, 트럼프 1기와 2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떻게 해소되는지 유심히 관찰해야 함

 

PDI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 입장에서 제일 희망적인 시나리오는, 발행할 수 있는 단기 채권 여력이 없는 미국이 장기 채권으로의 안정적인 변환을 이루어내고, 이 과정에서 장기 채권의 금리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PDI의 평균 만기는 약 5.09년입니다. 주로 중기채권에 투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장기 국채의 금리가 낮아진다면 중기 채권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는 중기채권에 레버리지를 활용하고 있는 PDI에겐 수익권에 도달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시나리오가 될 것입니다.

 

※ 모든 투자에 대한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글은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